본문 바로가기

농업인4

[농업인을 위한] 농업인안전재해보험 농촌에 살다보면 의외로 농업인들이 농기계로 인해 다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것을 알 수 있다. 논에서 농기계가 전복되거나 손 끼임 사고 등등 베테랑이라 하더라도 순간의 실수나 잘못으로 크고 작게 다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보험을 들어 대비를 하면 좋은데 여기 국가에서 일부 보조해주는 농업인을 위한 농업인 안전재해보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농업인안전재해보험이란? 농업인이 농작업 중 발생한 피해 보상을 위해 가입하는 정책보험이다.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여,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안정적인 재생산활동 지원한다. 서비스지원 대상은? 지원대상 만 15세 ∼ 87세이며 영농 활동에 종사하는 농업인에게 지원한다. ※ 단, 일부 상품은 만 84세까지 지원 위 농업인을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계약자로, 일반1 형은.. 2023. 4. 5.
농협조합원 가입 조건 및 혜택 농업인이라면 꼭 가입해야 하는 농협조합원, 가입 조건과 혜택에 대해 알아보자. 농협조합원 자격 요건 1. 조합의 구역에 주소, 거소나 사업장이 있는 자로서 농업협동조합법 제19조 제4항에 따른 농업인의 범위에 해당하는 자 농업인 범위 -1천 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를 경영 또는 경작하는 자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2.「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6조와 제19조에 따른 영농조합법인 및 농업회사법인으로서 그 주된 사무소를 조합의 구역에 두고 농업을 경영하는 법인 농업경영체 등록한 후 농협조합원 가입을 하면 된다. 농업경영체 등록 후 바로 농협조합원 가입이 가능한 곳이 있으나 지역에 따라서 농업경영체 등록 1년 후에 농협조합원 신청이 가능한 곳이 있으므로 경작지 또는 거주지 .. 2023. 3. 8.
농업인을 위한 농지연금 가입조건 농지연금이란? 만 60세 이상인 농업인이 소유한 농지를 담보로 제공하고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노후생활안정자금을 매달 연금방식으로 지급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즉, 고령농업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농지연금의 장점 1. 부부· 종신 지급 · 농지연금을 받던 농업인이 사망할 경우 배우자가 승계하면 배우자 사망 시까지 계속해서 농지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신청 당시 배우자가 60세 이상이고 연금승계를 선택한 경우에 한함) 2. 영농 또는 임대소득 가능 · 연금을 받으면서 담보농지를 직접 경작하거나 임대할 수 있어 연금 이외의 추가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재정지원으로 안정성 확보 · 정부예산을 재원으로 하며 정부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연금을 지급받을.. 2023. 3. 1.
농업경영체 등록 방법(신규, 변경) 농업경영체 신규등록 하는 방법? 대상 농어업·농어촌에 관련된 융자·보조금 등을 지원받으려는 신규 농업경영체(농업인, 농업법인) 농업법인은 농어업경농업법인은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9조에 의해 설립된 영농조합법인과 농업회사법인 농작물 재배의 경우 1. 1,000㎡ (약 302평) 이상의 농지에 농작물 재배 2. 농지에 660㎡(약 200평) 이상의 채소·과실·화훼작물(임업용 제외) 재배 3. 농지에 330㎡(약 100평) 이상의 고정식 온실, 버섯재배사, 비닐하우스 시설을 설치하여 농작물 재배 위의 세 가지 중 하나에 해당하면 된다. 가축 사육의 경우 1. 330㎡ (100평) 이상의 농지에 「농지법 시행규칙」 제33조에 규정된 축사 관련 부속 시설을 설치하여 「농업인 확인서..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