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도약계좌 6월이 되기 전에 미리 알아두자!

by MaDrit 2023. 3. 9.
반응형


청년도약계좌가 뭔가요?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은 월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만기 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매달 정부가 지원금을 보태주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이다. 윤석열 정부의 청년 핵심 공약으로 2023년 6월 출시된다.


청년도약계좌 개설 기준은?

청년도약계좌를 개설 가능한 청년의 기준은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세에서 만 34세인 청년들이 대상이며, 소득 기준은 개인소득 연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다. 금융위원회는 청년인구 1,034만 명 가운데 약 30%인 306만 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도 가입은 할 수 있지만 정부지원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얼마?

정부 기여금은 개인 및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결정된다.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월 최대 2만 4천 원이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어떻게 되나?

가입 후 첫 3년은 고정금리가,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 아직 구체적인 금리 수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추후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이 확정된 뒤 고시될 예정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언제부터?

오는 6월부터 취급 금융회사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받도록 할 계획이며 2025년 12월 31일까지 받는다.
5년간 의무 가입해야만 정부의 매칭 지원을 받을 수 있다. 5년의 의무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하면 그동안 받은 소득세 감면세액까지 추징된다.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되는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가입 할 수 없고, 만기 이후 순차 가입 가능하다.



반응형

댓글